살다보면 문제가 생길때가 많다. 나는 주로 그런 문제에 대해서 어떻게 대처해야하는지 미리 숙지해두는 걸 좋아한다. 제일 대표적인 예가 바로 자동차 급발진 대처다. 한달에 최소 한번씩은 자동차 급발진이 났을 때 어떻게 대처해야하는지 유튜브나 관련글을 차찾아본다. 이런 습관은 미국에 와서 더 강화됐다. 아무래도 언어, 문화, 행정적으로 다른곳에 있다 보니 다른 사람들의 후기들을 미리 공부해보고 나한테 일어났을때 어떻게 대처해야할지 미리 시뮬레이션을 돌려보고 심지어 한쥐에게도 여러번 설명해줬다. 교통사고 대처도 관련글을 수 차례 알아봤고 숙지해놨다. 그리고 마침내 (?) 고속도로에서 사고가 났고, 난 바로 전화했다.

“아빠 나 사고 났는데 어떡해?”

사건발생경위

 12월 30일 새벽 4시 우리는 텍사스 휴스턴에서 플로리다 게인즈빌로 가고있었다. 그날엔 도로에 안개가 굉장히 짙게 깔려있었다. 너무 짙게깔려있어서 누가 드라이아이스를 대량으로 흘렸나 라는 생각이 들 정도 였다. 당연히 안개가 많이 끼는날엔 더 조심히 운전해야하고, 앞차와의 간격도 너무 멀지도 않게 너무 가깝지도 않게 잘 유지해야한다. (너무 멀어져서 앞에 아무도없으면 조금 무섭ㅎ) 난 그렇게 잘 가고있다고 생각했다.

무난히 텍사스를 벗어났고 루이지애나를 통과하고있을 즈음 사고가 났다. 나는 고속도로 출구로 나가려고 있었고 그 부분은 커브길로 되어있어서 속도를 줄여아했다. 루이지애나 도심쪽이라서 차량도 많았고 + 길도 곡선형이라 속도도 줄여야하고 + 안개도 짙었는데 내 뒤에 덤프트럭아저씨는 그걸 지키지 못했는지 나와의 간격이 점점 줄어들더니 결국 뒤에서 들이받았다. 사고 발생 시각 아침 8시 반이었다.

꽤 큰 덤프트럭이었다. 저 정도로 끝난게 진짜 다행인거 같다

아빠, 나 사고 났는데 어떡해?

한 3초간 머리가 멍했던 것 같다. 충격이 엄청 심하진 않아서 (서울랜드 범퍼카 쎄게 부딪힌 정도?) 우리 둘 다 괜찮았고 뒷 좌석에있던 구름이도 ㅇㅅㅇ? 하는 표정으로 아무렇지 않게 있어서 천만다행이었다. 그렇게 교통사고시 행동요령을 유튜브와 인터넷글로 숙지를 했지만 막상 실제로 사고를 당하니 머리속이 그냥 하얘졌다. 아빠한테 전화후 아빠 왈

“전화한거보니 크게다치친 않은거 같고 일단 나가서 사진찍고 경찰불러”

그제서야 정신을 차리고 나가서 상황을 확인했다. 트럭은 어떻게든 피해보려 살짝 핸들을 틀었지만 충돌을 막진 못한것 같고 아무도 다친 사람은 없었다. 더 놀라운건 저 트럭은 앞부분은 아무런 손상도 입지 않았다.

상대방 운전자에게 가서 괜찮은지 물어보고 경찰을 불렀다. 경찰 번호가 특정한게 있을거라 생각해서 상대방 운전자에게 여기 경찰번호가 뭐냐고 물어보니 ‘911’ 이라고 했다.

이 넓은 미국 땅덩이가 엄청 넓은데 이게 다 911하나 커버가 되려나 싶었지만 일단 911로 전화를 했다. 제일 난감했던 질문은 911에서 너 위치가 어디냐 라고 물었을 때였다. 여기가 고속도로 한가운데이긴 한데…이걸 어떻게 설명해야하나 싶다가 기적적으로 내가 사고직전에 지나갔던 출구번호가 생각이 났다. 그렇게 내 위치를 설명해주고 경찰을 불러주겠다고 말한 후 통화를 종료했다. 통화가 끝나고 몇분 지나지 않아 뜬금 렉카차가 왔다. 정말 빨리와서 당황스러웠다.

사설 렉카차는 아니고 고속도로에서 일하는것 같은 분들이셨다. 그 분들은 빠르게 사고현장을 정리하고 내 차가 운전이 가능한지를 확인했다. 다행히 뒤의 오른쪽 라이트, 밑 범퍼, 트렁크쪽 살짝 찌그러진 것이라서 운전하는데 문제가 없었다. 다시 그분들은 케이블타이로 덜컹거리던 내 범퍼를 차체에 고정하고 일단 차를 도로에서 치우자고 했다.

그렇게 나와 사고차량은 렉카차를 따라 고속도로 밖의 어떤 주차장 공터에서 경찰을 기다리고있었다.

참고로 미국에서 사고가 났을 때 행동요령은
1. 다친 사람이 있는지 파악
2. 사고현장 촬영
3. 경찰 부르기
4. 만약 차를 안전한 곳으로 옮길 수 있다면 옮기기
5. 토잉 (견인) 서비스가 필요할 것 같으면 보험사에 연락하기

이렇게 하면 된다.

경찰관 등장

몇 분 기다리기도 전에 경찰관이 도착했다. 하루에도 몇번씩 하는일인 것 같은 차분한 경찰관은내가 유튜브에서 보던 경찰관과는 다르게 아주 침착했다.

“무슨 일이 일어났니?”

“면허증, 차량등록증, 보험증좀 보여줘”

그리고 나서 그분은 상대방 차량한테가서 똑같이 정보를 수집했다. 그러고선 police report를 주셨다.

이렇게 생긴 경찰리포트를 준다.

이 리포트안에 파일 넘버가 있는데 그 안에 모든 정보가 다 있다고 했다. 나는 어디서 주워들은게 있어서 상대방과의 보험정보나 면허증정보를 교환하려고 얘기해봤지만 상대방도 그렇고 경찰관도 ‘ㅇㅅㅇ? 이 넘버안에 다 정보있어서 굳이 안그래도 돼’ 이래서 그냥 저 폴리스 리포트만 받고 끝냈다.

그렇게 간단히 저 종이 한장만 받고 ‘자 이제 알아서 갈길 가세요!’ 해서 우리는 다시 플로리다로의 긴 여정을 떠나야 했다. 뒷범퍼를 저렇게 불안하게 달고, 심지어 뒤 운전선쪽 라이트는 나가서 불도들어오지 않는 상황이었다. 이 상태로 해 지면 더 위험하겠다 싶어서 열심히 쉬지않고 약 600마일을 (한 8시간) 달려서 집으로 무사히 돌아왔다. 

저렇게 케이블타이로 대충 범퍼를 묶어놨다.

보험처리

집에 온 후 보험사에 전화해서 사고를 리포트했다. 나는 Collision (자차보험)을 들고있어서 바로 차량을 수리할 수 있었다. 이 자차보험이 없다면 아마 시간도 더 오래걸렸을테고 골치도 아팠을 것이다. (여러분 자차보험 꼭 드세요)  

자동차 보험 상세항목 설명 글: https://yongzinusa.com/%eb%af%b8%ea%b5%ad%ec%83%9d%ed%99%9c-%ec%9e%90%eb%8f%99%ec%b0%a8-%eb%b3%b4%ed%97%98%eb%a3%8c-%ec%84%b8%eb%b6%80%ed%95%ad%eb%aa%a9-%ec%95%8c%ec%95%84%eb%b3%b4%ea%b8%b0/

그렇게 바로 차량을 보험사에서 지정해준 바디샵에 맡기고, 렌트카를 빌렸다. 내 경우엔 렌트카 까지 보험항목에 있어서 하루 최대 $50, 최대 $1,500 까지의 렌트카 지원을 받을 수 있었다. 

보험사의 전화

차량을 정비소에 맡기고 며칠 후 보험사에서 전화가 왔다. 

“너 차 전손처리 났어. 전손처리 진행을 위한 서류들 이메일로 보낼게”

??????????아니 전손이요?????????????????

전손처리란 차량 수리비보다 차 자체의 가치가 낮을 때 그냥 보험사가 “사고나기 전 차 값 줄테니 폐차하자” 라는 뜻이다.

전손처리가 될 줄을 상상도 못했다. 비록 케이블타이로 엮었지만 8시간을 잘 달려서 집으로 왔었는데…

암튼 우린 이제 새로운 차량을 구매해야할 시기가 되었다. (더 화나는건 렌트카는 전손처리가되면 일주일밖에 더 연장을 안해준다는 것이다)

과연 어떤 차가 우리 앞에 있을지 아니면 아무 차 없이 뚜벅이 생활을 할지…